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결핵
    Dung--[건강상식] 2015. 2. 25. 17:07

     

     

    결핵균이 체내에 들어와서(감염) 저항력이 약화된 사람에게 병을 일으킨 것(발병)으로 결핵균에 감염되었다고 하여 모두 발병하는 것은 아니고 감염된 사람의 5-15%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체 모든 기관에 병을 일으킬 수 있으나 89% 이상이 폐결핵을 일으킨다. 결핵균의 전파는 환자의 가래, 대변, 소변, 고름에 있는 균이 다른 사람의 호흡기, 소화기, 피부 등을 통해 들어감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실제로 거의 대부분의 전염은 폐결핵 환자의 객담에 있는 균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주위 사람의 호흡기내로 들어가서 일어난다.
      결핵에 걸리게 되면 전신증상으로 발열(대개 미열로서 주로 오후에 열이 나고 밤에 잠이 들면 내림),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호흡기증상으로 기침, 객담, 객혈, 흉통,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기침이 가장 흔한 호흡기증상으로서 단순한 감기로 생각되었더라도 3주 이상 기침이 계속되면 반드시 결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병원에 진찰을 받아야 한다. 결핵의 진단을 흉부엑스선검사, 객담 결핵균도말 및 배양검사를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며 치료는 항결핵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일단 효과적인 치료를 시작하면 짧은 기간내에 가래에서 결핵균이 나오지 않게 되고 따라서 전염력도 없어지게 되므로 본인의 신체활동에 지장이 없는 한 직장생활을 포함하여 어떠한 사회활동도 제한할 필요가 없다.

      가정에서는 이렇게

      - 결핵으로 진단  받는 즉시 환자는 보건소나 병원에서 항결핵 치료를 받도록 하고 항결핵제 투여 시간 전부터 투여 후 2-3주가 지날 때까지는 전염력이 높은 시기이므로 가능한 한 다른 사람들과의 밀접한 접촉은 피하도록 하며 이 시기가 지나면 대부분의 경우 격리할 필요는 없어진다. 또한 나머지 가족들도 모두 결핵감염 여부에 대한 검사를 받아야 한다(결핵균이 나오지 않으면 현재 결핵 치료중인 환자라 하더라도 전염성이 없으므로 격리할 필요가 없다).

      - 가래에서 결핵균이 나오고 있는 환자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혹은 가래를 뱉을 때 반드시 고개를 돌리고 입에 휴지나 손수건을 대고 하도록 하여 결핵균의 전파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환자의 방은  가능한 한 자주 환기를 시키는 것이 좋으며 결핵균은 햇볕이나 열에 약하므로(햇볕 아래에서는 5분내에 사멸, 열에서는 섭씨 60도에서 20분, 70도에서는 5분내에 사멸) 환자의 침구류는 일광소독하고 가래를 뱉은 휴지 등은 따로 모아 소각한다.

      - 결핵균은 치료 시작 후 신속하게 사멸되기 시작하지만 충분한 기간 동안 약을 복용하지 않으면 재발하므로 증상이 좋아졌다고 임의로 약을 중단하지 말고 완치 판정을 받을 때까지 의사의  지시에 따라 끝까지 투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항결핵제 복용시 위장장애나 어지러움증, 시력장애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 때문에 환자 자의로 약 복용을 중단하거나 불규칙하게 먹는 것은 치료 실패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여 조정을 받도록 하여야 한다.

      - 결핵으로 인해 객혈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당황하지 말고 옆으로 누워(피가 어느 쪽 폐에서 나오는지를 알 수 있으면 피가 나오는 것으로 생각되는 쪽을 아래로 하여 눕는다) 안정하면서 침착하게 피를 삼키지 말고 모두 뱉어 내면서 즉시 병원으로 가서 치료를 받는다.

      - 태내에서 어머니로부터 결핵에 감염된 유아를 제외한 모든 유아는 출생 후 4주내에 반드시 결핵예방주사(BCG)를 접종하도록 한다(BCG  접종은 약 15년간 80%의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럴 때는 의사에게

      - 3주 이상  기침과 가래가 계속되는 경우. 특히 체중감소, 발열, 흉통, 혈담이 있을 때

      - 기침을 할 때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

      - 3주 이상 흉통이 있을 때나 3주 이상 발열이 있을 때

      - 가족 중 활동성 결핵 환자가 있을 때

      - 기타 앞에서 언급한 결핵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을 때 

    'Dung--[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0) 2015.02.25
    천식  (0) 2015.02.25
    독감(인플루엔자)  (0) 2015.02.25
    만성기관지염  (0) 2015.02.25
    감기  (0) 2015.02.25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