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ng--[건강상식]
-
결핵Dung--[건강상식] 2015. 2. 25. 17:07
결핵균이 체내에 들어와서(감염) 저항력이 약화된 사람에게 병을 일으킨 것(발병)으로 결핵균에 감염되었다고 하여 모두 발병하는 것은 아니고 감염된 사람의 5-15%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체 모든 기관에 병을 일으킬 수 있으나 89% 이상이 폐결핵을 일으킨다. 결핵균의 전파는 환자의 가래, 대변, 소변, 고름에 있는 균이 다른 사람의 호흡기, 소화기, 피부 등을 통해 들어감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실제로 거의 대부분의 전염은 폐결핵 환자의 객담에 있는 균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주위 사람의 호흡기내로 들어가서 일어난다. 결핵에 걸리게 되면 전신증상으로 발열(대개 미열로서 주로 오후에 열이 나고 밤에 잠이 들면 내림),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호흡기증상으로 기침,..
-
독감(인플루엔자)Dung--[건강상식] 2015. 2. 25. 17:05
많은 사람들이 증세가 심한 감기에 걸리면 독감에 걸렸다고 말하지만,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독감은 감기증세를 일으키는 여러 가지 바이러스 중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 상기도 감염을 말한다. 이러한 인플루엔자 감염은 10~ 40년을 주기로 전 세계적인 대유행을 일으키며 그 중간에 2~3년을 주기로 유행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날씨가 춥고 건조한 10월부터 4월까지 발생율이 높다. 독감은 일반적인 감기보다는 증세가 심하여 피로감이 동반될 고열이 40도 이상 오르내리고 심한 두통과 오한, 닿기만 해도 아픔을 느낄 정도의 근육통에 시달리게 되어 학교나 직장에 결석하게 되는 수가 많다. 인두통도 심하여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침을 많이 흘리고 잘 먹지 못하고 심하게 보채며 잠을 이루..
-
만성기관지염Dung--[건강상식] 2015. 2. 25. 17:03
만성기관지염이란 기관이나 기관지내에 기침을 일으킬 정도로 매우 많은 양의 점액이 생산되는 상태로 의학적으로는 기침, 가래가 1년에 3개월 이상 나오고 그것이 최소한 2년 이상 지속될 때 진단한다. 가래는 묽은 경우도 있고 진하고 누련 경우도 있으며, 기침은 지속적이고 대개 가래가 끓는 기침을 한다. 이 질환의 초기에는 겨울철에만 기침을 하나 질환이 더 진행됨에 따라 기침을 하는 기간이 더 늘어나 나중에는 일년 내내 기침을 할 수도 있다. 호흡기능이 감소되기도 하여 때로 힘든 일이나 운동을 할 때 숨이 찰 수도 있다. 진단은 증상만으로 할 수 있으며, 가슴 X- 레이 촬영과 폐기능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만성기관지염은 왜 생기나? 기관지에 만성적인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원인요인들이 만성기관지염을..
-
감기Dung--[건강상식] 2015. 2. 25. 17:02
예로부터 감기는 인간을 괴롭혀 온 가장 흔한 건강문제였음에도 불구하고 눈부신 발전을 이룩해 온 현대의 의학기술로도 아직 정복하지 못하고 있는 질환이다. 감기는 보통 증상이 가볍고 대부분이 저절로 치유되기 때문에 의료인들로부터는 질병 같지도 않은 질병으로 취급되고 있지만, 다양한 합병증이나 후유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어 사람들은 감기를 만병의 근원이라고 생각한다. 감기는 95% 이상이 바이러스가 원인이지만 바이러스의 침입을 받는다고 모두 감기에 걸리지는 않는다. 그 발병 과정에는 바이러스 감염뿐만 아니라 침범한 바이러스에 대한 환자 자신의 개체방어력이나 급격한 체온변동 체력소모 등이 관여한다. 감기의 증상 감기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여 흔히 콧물이나 막힘 또는 재채기 등을 주증상으로 호소하는 코감기, 인후통..
-
치질Dung--[건강상식] 2015. 2. 25. 17:01
항문에 생기는 질환을 통틀어 치질이라고 하고 항문의 점막하정맥이 팽창하여 점막을 늘어나게 함으로서 함께 도출하는 것이 치핵인데, 가장 흔한 항문질환이므로 치질이라 하면 대개 치핵을 뜻한다. 그외 항문 주위로 농이 나오는 치루와 항문점막이 갈라져 출혈하는 치열 등의 치질도 있다. 치핵은 항문 안에서 발생되면 내치핵(암치질) 이라하고 항문 밖이면 외치핵(숫치질)이라 하는데 내치핵도 정도가 심하면 항문 밖으로 돌출하게 된다. 치질의 원인 인간은 누구나 정맥혈의 무게에 의한 중력으로 항문의 정맥이 팽창할 소지가 있는데 우선적으로 항문점막하의 정맥이 약하면 쉽게 팽창하여 젊은 나이에도 치핵이 발생할 수 있고 식생활의 차이에 의한 대변성분의 이상이나 변비 등 잘못된 배변습관으로 창문에 과도한 긴장이 오래 되면 치핵..
-
간염Dung--[건강상식] 2015. 2. 25. 17:01
간염은 하나의 병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많은 원인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로 간에 생기는 염증성의 병들을 막연히 일컫는 이름이다. 간염은 급성간염과 만성간염으로 나눌 수 있으며 급성간염은 간염바이러스들(A형, B형, C형 등), 간에 해로운 약물이나 잘못된 민간요법 등이 원인이 되어 간세포의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소수에서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완치가 가능하다. 급성간염 중 일부가 6개월 이상 염증이 계속되는 만성간염으로 진행되는데 이 경우는 장기간의 치료 및 세심한 주의 관찰이 필요하고 이 중 일부에서 간경변증이나 간암이 합병되어 심각한 지경에 이르게 된다. 간염이 만성적으로 진행된 이후에는 최선의 치료를 하더라도 완쾌에 이르기는 쉽지 않아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을 철저히 하는 것..
-
폐경Dung--[건강상식] 2015. 2. 25. 17:00
우리나라 여성들의 폐경연령은 평균 48세로 이 나이 전후가 되면 생리가 점점 불규칙해지다가 끊어지게 되는데 그와 함께 별 이유없이 식은땀이 나며 까닭 없이 놀라게 되는, 이전에는 겪지 못하던 여러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증상들은 모두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생성을 담당하는 난소가 노화하여 체내 여성호르몬치가 낮아져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또한 이는 위에 말한 눈에 보이는 증상외에도 훨씬 위험하고 심각한 골다공증과 심혈관계 질환 발생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영향상태의 변화 및 사회문화의 발달로 과거의 여성에 비해 현대의 여성의 초경 연령(처음으로 월경을 하는 나이)은 빨라졌지만 폐경 연령은 과거나 현대나 별다른 차이가 없다. 그러나 전반적인 보건수준의 행상으로 여성의 평균수명이 75세 전후로 늘..
-
하혈증상Dung--[건강상식] 2015. 2. 25. 16:56
하혈이라 함은 엄격하게는 정상적인 월경이 아닌 비정상적인 자궁출혈을 의미하나, 정상적인 월경도 개인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정의하기가 간단치 않아서 정상적인 월경의 양상을 벗어난 경우를 일괄하여 하혈이라 한다. 정상 월경주기는 월경이 끝난 이후부터 배란일 전까지의 황체기와 배란 이후부터 월경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여포기로 나뉘는데, 황체기는 14일로 비교적 일정하나, 여포기는 변동이 있을 수 있어 보통 월경주기는 21~40일 정도이며 출혈기간은 3~7일, 출혈량은 80ml를 초과하지 않는다. 하혈은 적절한 치료에 앞서 원인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한데 이 때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출혈이 발생한 부위가 자궁인가? 아니면 그 이외의 부위인가? 둘째, 자궁출혈이라면 정상..